반응형
form 태그는 여러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는 영역을 제공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가 유효성 검사 없이 서버로 전송된다면 사용자 접근성 및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없다.
그럼 서버단과 클라이언트단(자바 스크립트)에서 이뤄지는 유효성 검사가 다를까? 무엇이 더 좋고 기준이 되는것이 있을까 갑자기 궁급해졌다.
클라이언트단에서만 데이터의 유효성 검사를 한다면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할 수 없다고 한다.
자바 스크립트를 이용한 유효성 검사는 클라이언트의 환경에 따라(호환하지 않거나) 스크립트의 비정상적 동작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인 이유도 있겠지만..
그런 클라이언트측의 데이터 검증은 목적이 사용자 접근성 향상에 있다고 생각해도 좋다고 한다.
또, 서버단에서의 유효성 검사는 서버의 부하와 검증이 실패하였을 경우 다시 입력 Form으로 이동하며 입력한 데이터들이 초기화 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두 문제를 해결하거나 피할 수 있는 방법이 많지만 여러 자료들를 찾아보니
서버와 클라이언트 측 유효성 검증을 분리시켜 생각해야 하며, 모두 유효성 검사를 하는 것이 좋다는 결론이 많았다.
반응형
'개발 환경 및 오류'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 S3(Simple Storage Service) (0) | 2017.01.02 |
---|---|
AWS : EC2 (아마존 리눅스) Windows(Git설치) (0) | 2017.01.02 |
자바 컴파일 : package jdbc does not exist (0) | 2016.12.08 |
no suitable driver found for jdbc (0) | 2016.12.08 |
web.xml 파일이 없을 때 (0) | 2016.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