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19 페이지 모듈화 : <jsp:include> * 화면 구성 요소의 코드 중복 요소를 없애는데 사용하는 액션 태그.* 위치한 부분에 지정한 페이지를 포함한다.* 동작 방식1) main.jsp가 웹 브라우저의 요청을 받는다2) [출력내용 A]를 출력버퍼에 저장한다.3) 가 실행되면 요청 흐름을 sub.jsp로 이동한다.4) [출력내용 B]를 출력버퍼에 저장한다.5) sub.jsp의 실행이 끝나면 요청 흐름이 다시 main.jsp의 로 돌아온다.6) 이후의 [출력내용 C]를 출력버퍼에 저장한다.7) 출력버퍼의 내용을 응답 데이터로 전송한다. 1. 액션 태그 사용방법 page : 포함할 JSP 페이지의 겨로를 지정한다.flush : 지전항 JSP 페이지를 실행하기 전에 출력버퍼를 플러시 할지 여부를 설정한다. true(플러시) flase(non-플러시, .. 2016. 10. 28. 세션, 기본 객체 : seesion 세션* 서버 세션을 사용해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가 아닌 서버에 값을 저장한다. 서버는 세션을 이용해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통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세션을 사용한다. session 기본 객체* 웹 브라우저에 정보를 보관할 때 쿠키를 사용하고, 웹 컨테이너에 정보를 보관할 때 세션을 사용한다. * 웹 컨테이너는 기본적으로 한 웹 브라우저마다 하나의 세션을 생성한다. 1. 세션 생성1) page 디렉티브의 session 속성을 "true" 로 지정한다. * 하지만 session의 기본값이 true이기 때문에 false 로 지정하지 않는 한 세션이 생성된다.* 세션을 사용하는 서버 프로그램에 웹 브라우저가 처음 접속을 하면 세션을 .. 2016. 10. 28. 쿠키 쿠키* 웹 브라우저가 보관하는 데이터이다.* 웹 브라우저는 웹 서버에 요청을 보낼 때 쿠키를 함께 전송하며, 웹 서버는 전송받은 쿠키를 사용해 필요한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쿠키는 웹 서버, 블라우저 양쪽에서 생성할 수 있듣네, JSP가 생성하는 쿠키는 웹 서버 쿠키이다. 쿠키 동작 방식1) 쿠키 생성 : 쿠키를 사용하기 위해 제일 먼저 쿠키를 생성한다. 웹 서버측에서 쿠키를 생성하고, 생성한 쿠키를 응답 데이터의 헤더에 저장하여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로 보낸다.2) 쿠키 저장 : 클라이언트는 응답 데이터에 포함된 쿠키를 쿠키 저장소에 보관한다. 쿠키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나 파일에 저장한다.3) 쿠키 전송 : 클라이언트는 저장하고이쓴 쿠키를 요청이 있을 때마다 웹 서버로 전송한다. 웹 서버는 클라이.. 2016. 10. 28. 자바빈 (JavaBeans) 자바빈 (JavaBeans) * JSP 기반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정보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것. * 속성(데이터), 변경 이벤트, 객체 직렬화를 위한 표준이다. JSP에서의 속성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다. * 예 ) 회원정보, 게시판 글 등의 정보를 출력할 때, 벙조를 저장하고 있는 자바빈 객체를 사용하게 된다. * 자바빈 클래스 (=자바빈) 구조 public class BeanClassName implements java.io.Serializable { // 값을 저장하는 필드 private String value; // BeanClassName의 기본 생성자 public BeanClassName(){ >// 필드의 값을 읽어오는 값 public String getValue() { return valu.. 2016. 10. 2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